[분석] 국내 버츄얼 유튜버와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동향
종종 버츄얼 유튜버(이하 버튜버)를 준비하시거나,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받는 질문이 있습니다. "어느 플랫폼에서 시작해야 하나요? 아프리카TV가 좋을까요, 치지직이 좋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 버튜버 업계 현황에 대한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의 최근 동향과 함께 상황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의 이해
버튜버의 발상지인 일본에서는 서브컬처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며, 버튜버의 비즈니스 모델이 후원에서 커머스로 진화했습니다. 반면 한국의 버튜버들은 아직까지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한 후원이 주 수입원입니다. 따라서 국내 버튜버의 상황을 이해하려면 먼저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에 대한 파악이 필요합니다.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은 2005년 아프리카TV 출범 이후 시작되었고, 2015~2023년 트위치의 국내 상륙 이후 전성기를 누렸습니다. 그리고 2024년, 트위치의 국내 시장 철수와 함께 완연한 성숙기에 접어들었죠. 지금은 한마디로 이미 볼 사람 다 보고, 돈 낼 사람 다 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라이브 스트리밍과 같은 대표적인 여가 산업의 주 사용자층은 20~30대 남성 시청자입니다. 이들의 여가 시간이 주 4일제 등으로 획기적으로 늘어나지 않는다면, 시장 규모가 쉽게 확대되기 어려운 구조죠. 따라서 라이브 스트리밍 업계는 극심한 레드오션 상태에 놓여 있으며, 상위 10%의 스트리머가 대부분의 수익을 가져가는 극단적인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관심을 금전적 가치로 바꾸는 기반과 구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런 관심 비즈니스 하에 양극화는 어느정도 불가피한 현상이긴 하죠. 여기에 라이브 스트리밍 자체가 음지인데다가, 트위치 철수 당시의 버츄얼은 음지에서 한 뎁스가 더 들어가는 수준이었습니다.
일반적인 방송도 쉽지 않은데, 버튜버 방송은 더 쉽지 않았습니다. 라이브 방송은 당연히 월급이 안정적으로 따박따박 나오는 직업이 아닙니다. 생계 유지까진 아니더라도, 방송을 이어나갈 정도의 수입은 반드시 필요하죠.
당시 트위치가 국내 버튜버들에게 가장 메리트가 있던 것은 바로 이 수입을 커버해주는 해외 시청자였습니다. 트위치는 글로벌 플랫폼이고, 해외시청자 유입이 가능했던 터라 상대적으로 많은 시청자 수를 확보했었습니다. (*물론 뷰봇과 같은 문제가 있었음)